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한 한국의 대표 국립박물관이다.
한국의 고미술과 유물을 약 150만 여점 소장하고 있으며, 상설전시 유물 1만여 점으로 한국 최대의 박물관이면서 세계적으로도 상당히 큰 규모다. 국가를 대표하는 박물관으로서 국내 다른 박물관을 지도하고 지원하는 위치에 있다.
한국의 현대 미술은 국립현대미술관에서 담당한다.
국립중앙박물관의 시작은 순종이 지은 제실박물관이며, 지금의 국립중앙박물관 컬렉션의 기초는 조선총독부 박물관과 이왕가박물관, 남산의 국립민족박물관 소장품을 합친 것인데, 총독부박물관과 이왕가박물관이 모두 일제에 의해 설립되었기 때문에 초기에는 조선총독부 박물관을 새로 개편하여 1946년에 '국립박물관'이라는 명칭으로 덕수궁 석조전 건물에서 개관했다.
그러나 최광식 관장이 취임한 이후 이왕가박물관이 원래는 1909년 대한제국의 제실박물관에서 시작되었다는 점을 주목하여, 그것을 우리 박물관의 시초로 여기고 2009년을 '한국박물관 100주년의 해'로 선포해 대규모 특별전과 행사를 열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일제가 조선의 문화재를 모으면서 총독부박물관의 규모를 넓혔다. 일본제국은 당시 조선 식민지배를 오래할 것으로 기대하고 다행스럽게도 대영박물관이나 루브르 박물관이 했던 것처럼 식민지 유물들을 일본으로 마구 빼돌리지는 않았다.
일본인 학자 코이즈미 아키오의 회고록에 따르면, 기차 2량 분량의 가야 유물을 일본행 연락선에 싣기 위해 보냈다는 기록이 있어서 전쟁 후반에 한국 유물을 일본으로 빼돌리려는 시도는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가야 유물은 다행히도 나중에 되찾았으나 일본인들이 개인적으로 꽤 많은 유물을 반출했기 때문에, 지금까지 해외 반출된 한국 문화재가 가장 많은 곳이 일본이다.
광복 이후 경복궁 경내의 총독부박물관을 그대로 박물관으로 사용하다가 6.25 전쟁으로 유물과 박물관도 임시수도 부산으로 피난하게 되었다. 북한은 과거 조선 왕실과 일제가 수집해 뒀던 한국사 핵심 문화재들을 그대로 물려받은 남한과 달리, 작은 평양부립박물관 정도뿐이었기 때문에 소장한 문화재가 많지 않았다. 침공 직후 서울을 점령한 인민군이 아직 서울에 남아 있는 유물을 모두 북으로 가져가려고 했으나, 북한 내부에서도 광복절인 8월 15일 통일을 거론하는 등 낙관적으로 생각해 서두르지 않다가 인천상륙작전 이후 빠른 속도로 북진이 시작되자 인민군은 대부분의 유물을 서울에 둔 채 서둘러 탈출했다.
1953년 휴전 이후 서울로 오면서 유물은 경복궁 경내로 돌아왔으나, 그해 10월에 경복궁 부지가 구황실재산사무총국으로 넘어가자 1954년 2월부터 구 남산분관 건물에서 머물렀다. 그러나 그마저 6월에 남산 건물이 연합참모본부로 쓰이자 11월에 덕수궁 석조전으로 옮겨 이듬해 2월에 박물관을 개관했다.
덕수궁에 박물관을 개관했던 1957년 12월부터 1959년 6월까지 미국 8개 도시에서 처음으로 국보급 문화재 해외 전시를 열었으며, 1961년 3월부터 1962년 5월까지 영국·프랑스·네덜란드·독일·오스트리아에서 중요문화재 해외 순회전시를 하여 일제 식민사관에 의해 왜곡된 한국사만 접했던 외국인들에게 우리의 역사를 소개하기 위해 노력했다.
1972년에 현 명칭으로 변경하여 지금의 국립민속박물관 건물을 신축해 이전하였다. 1973년에는 공주분관을 신설하고 1975년부터 지방분관을 '지방박물관'으로 개편했다. 1976년 보존과학실을 열었다.
그러나 1982년 정부과천청사 신설로 중앙청 건물이 비게 되자, 해당 건물을 개조해 1986년에 이전하고 그 해에 중앙청 후생관 건물을 사회교육관으로 개편하였다.
중앙청을 박물관으로 사용하던 때에는 사회교육관 신설 외에 1990년 버스 이동 박물관 '움직이는 박물관'을 개설했다. 1992년에 국립민속박물관을 독립시키고 1995년 광복절에 문민정부의 '역사 바로 세우기' 정책으로 조선총독부 청사를 철거하면서 소장품들을 임시로 근처 벙커에 보관했다가 경복궁 경내의 사회교육관 건물을 개축하여 이전하였다.
이후 용산기지 골프장을 돌려받아 조성된 용산가족공원 내에 크게 건물을 지어서 2005년에 개관하게 된다.
현재 앞마당에 국립한글박물관이 2014년 10월 개관하였으며, 차후 주변 부지도 기증받아 국립민속박물관을 이전하고 전쟁기념관까지 연결하여 거대한 뮤지엄 파크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다만 현 위치가 저지대로 대규모 홍수가 닥치면 문화재가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2009년에 국립중앙박물관 100주년 특별전을 했는데, 이때 국내외의 박물관과 미술관에서 몽유도원도, 훈민정음 해례본, 천마도 같은 평소에 보기 힘든 귀한 유물을 보내 축하했다. 특히 몽유도원도는 1인당 1분만 볼 수 있도록 관람을 제한할 정도였다.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월대보름 - 뭔지나 알고 오곡밥을 배불리 먹어보자! (0) | 2023.01.27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