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우리가 평소 자주 사용하는 앱에서 공공서비스를 편리하게 예약 이용할 수 있습니다.
어떤 종류의 공공서비스를 어떤 앱에서 어떻게 이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디지털서비스 개방이란?
디지털서비스 개방이란 공공웹이나 해당 앱을 설치해야만 이용이 가능했던 공공서비스를 민간앱에서 신청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고 있는 민간앱을 이용하다 보니 별도로 앱을 설치하거나 해당 홈페이지에 방문하지 않아도 보다 간편하게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설치나 검색방문을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줄면서 보다 쉽고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디지털서비스 개방으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공공서비스
디지털서비스 개방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공공서비스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현재는 우선 4종의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지만, 앞으로 서비스의 종류가 확대될 예정입니다.
현재 디지털서비스 개방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공공서비스는 다음 4가지입니다.
1. SRT 승차권 예매
2. 자동차 검사 예약
3. 국립 수목원 예약
4. 인천국제공항 지도서비스
어떤 민간앱에서 어떻게 이용할 수 있을까요?
그렇다면 평소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앱에서 위에서 말한 4가지 공공서비스를 어떻게 이용하면 될까요?
1. SRT 승차권 예매
지도앱인 <네이버지도>와 모빌리티앱인 <카카오 T>에서 승차권 예약이 가능합니다.
해당 앱에서 목적지를 검색합니다.
열차를 이용해 가는 경로라면 <예매> 버튼이 나오며, 버튼을 눌러 들어가 로그인한 후 열차예매가 가능합니다.
2. 자동차 검사예약
<네이버>, <카카오 T>, <토스>, <KB스타뱅킹>, <신한 마이카>에서 예약이 가능합니다.
해당 앱에서 자동차 번호를 입력하면, 검사를 해야 하는 기간을 미리 알려주고, 가까운 검사소에 예약할 수 있으며, 검사 당일에는 위치정보를 알려줍니다.
3. 국립수목원 예약
<네이버>, <KB Pay>에서 예약이 가능합니다.
해당 앱에서 <국립수목원 예약 서비스>에 들어가 원하는 수목원을 선택한 후 예약할 수 있습니다.
아직은 이용할 수 있는 수목원이 그리 많지 않아서, 당장 이용하기에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더 많은 수목원의 참여와 좀 더 많은 개선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4. 인천국제공항 지도서비스
<KB 스타뱅킹>에서 이용이 가능합니다.
해당 앱에서 상단의 지갑모양 아이콘 <KB Wallet> → <패스트인천공항>을 클릭합니다.
항공편명, 출발지, 도착지를 입력하면, 공항까지의 경로와 항공편의 탑승구까지 최적의 경로와 소요시간을 알려줍니다.
디지털서비스 개방을 통해 우리가 평소 자주 사용하는 앱에서 이용할 수 있는 공공서비스는 아직 그리 많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올해까지 23개의 공공서비스에 대해 디지털서비스 개방이 예정되어 있으며, 추진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지금은 초기이기 때문에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가 많지 않지만, 앞으로 더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하니 기대가 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영업자 내일배움카드 만들기 (2) | 2023.07.10 |
---|---|
하얀 등대, 빨간 등대의 비밀 (0) | 2023.07.08 |
청약 당첨 아파트 어떤 옵션을 선택하면 좋을까요? (3) | 2023.06.27 |
폭염 행동요령과 폭염질병 대처법 (2) | 2023.06.25 |
장애인 보조견 종류와 보조견 표지 발급하기 (2) | 2023.06.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