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맨홀이 둥근 모양인 이유

by jittymitty 2023. 5. 7.

맨홀은 차도나 인도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몇몇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맨홀의 모양이 원형인데요.

왜 대부분 맨홀의 뚜껑은 동그란 모양일까요?

 

맨홀이란?

맨홀은 말 그대로 맨(MAN) + 홀(HOLE), 사람이 드나들 수 있는 구멍이라는 뜻입니다.

요즘 땅 밑에는 많은 것들이 있습니다.

통신시설, 하수관, 빗물을 모아서 보내는 우수관, 전선 케이블 등이 모두 지하에 매설되어 있어 사람이 맨홀을 통해 드나들며 시설 관리를 해야 합니다. 

좁은 골목이나 소방차가 들어가기 어려운 위치에는 지하에 소화전이 있어 화재가 나면 맨홀 뚜껑을 열어 화재를 진압하는 데 사용합니다. 

그래서 소화전 맨홀 위에는 절대 주차를 하면 안 되니 주의해야 합니다.

흔히 마주치는 맨홀의 뚜껑에는 그 밑에 어떤 시설이 있는지 표시가 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니, 유심히 살펴보면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맨홀 뚜껑이 둥근 이유는 안전을 위해서?

물론 모든 맨홀 뚜껑이 둥근 것은 아닙니다.

수도계량기나 전화통신선, 수도 등의 맨홀 뚜껑은 원형이 아닌 직사각형 혹은 정사각형 모양인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비율적으로 따져볼 때 원형의 맨홀 뚜껑이 많습니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1. 안전사고

맨홀 뚜껑은 차도나 인도 어느 곳이든 있습니다. 

만약에 맨홀 뚜껑이 사각형이나 삼각형, 오각형 등으로 되어있다면 날카로운 모서리 부분이 존재하게 됩니다.

차량이나 사람 등이 지나면서 혹시라도 헐거워진 맨홀 뚜껑에 부딪힐 경우 날카로운 부분에 차량이 파손돼 사고로 이어지거나, 행인이 다칠 수도 있습니다.

이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각이 지지 않고 모서리가 없는 원형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원형 맨홀
맨홀은 여러가지 사항을 고려해 원형이 가장 흔합니다.

2. 뚜껑 빠짐 예방

사각형이나 삼각형 등을 포함한 다각형으로 맨홀 뚜껑을 디자인할 경우, 한 변의 길이는 대각선의 길이보다 짧아지게 됩니다.

그럼 대각선 방향으로 뚜껑이 빠져 들어가, 작업자들의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물론 대각선과 각 변의 길이가 같은 길이로 디자인한다면 뚜껑이 빠져서 들어가는 일은 없겠지만, 작업을 위해 맨홀 뚜껑을 이동할 때 굴려서 이동할 수 있는 원형에 비해 작업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또한 다각형의 경우 각 모서리를 맞춰서 끼워 넣어야 하는 번거로움 또한 있습니다. 

그러니 굳이 다각형의 맨홀 뚜껑보다는 원형으로 디자인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사각형 맨홀
각 변의 길이에 비해 대각선의 길이가 긴 경우, 대각선 방향으로 맨홀 뚜껑이 빠질 위험이 있습니다.

3. 파손이 적은 디자인

원형의 경우 충격이 가해질 경우 전체적으로 전달되어 분산되면서 깨지거나 갈라지는 등의 파손도 적습니다.

아무래도 항상 충격에 노출되어 있는 장치이다 보니 파손이 적어 경제적인 면에서도 원형이 적합한 디자인입니다.

또한 생산하는 데도 다른 모양에 비해 원형이 수월한 이유도 있다고 합니다. 

 

맨홀 시설 주의사항

1. 맨홀 안에는 중요한 시설들이 매설되어 있습니다. 

문제가 있거나 사고가 나면 맨홀로 사람이 들어가야 하는 통로이니, 쓰레기를 함부로 버리거나 뚜껑을 밟지 말아야 합니다.

쓰레기는 맨홀 구멍을 막아 장마철 물 빠짐이 되지 않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2. 맨홀 안에는 전선이 많기 때문에 장마철에는 감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갑자기 많은 비로 인해 수십 킬로그램의 맨홀 뚜껑이 튀어올라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니, 비가 많이 온다면 맨홀 주변을 피해 가는 것이 좋습니다.

 

3. 맨홀 뚜껑은 함부로 밟지 않아야 합니다.

뚜껑이 돌아가거나 그 밖의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4. 소방시설인 경우 절대 그 위에 주차를 하면 안 됩니다.

소화전이 매설된 맨홀인 경우, 긴급한 상황에 신속하게 사용해야 하는 시설이니, 소방 표시가 있는 맨홀인지 꼭 살피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