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시설물이나 물품 등을 누구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공자원 공유서비스가 있습니다.
공공자원 통합검색서비스인 <공유누리>에서 어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살표 보겠습니다.
공공개방자원 나눔터 <공유누리>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많은 정보와 서비스들이 있지만, 정보들이 모두 흩어져 있어서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공유누리>는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에서 모두에게 개방하는 공공물품이나 시설 등을 온라인에서 편리하게 검색하고 예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공개방자원 공유서비스 포털입니다.
지역을 선택해 나에게 필요한 정보나 시설 서비스 등을 검색할 수 있고, 개방된 공공자원을 유형별로 검색하고 예약할 수 있습니다.
<공유누리>에서 어떤 혜택을 나눌 수 있을까요?
<공유누리>에서는 문화/숙박, 회의실, 강의실/강당, 체육시설, 주차장, 물품, 연구/실험장비, 교육/강좌 등의 유형으로 나뉘어 서비스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각 유형별로 세부분류와 유료/무료의 요금분류를 선택하여 지역을 입력하여 검색하면 됩니다.
<문화/숙박>에는 문화시설, 숙박시설, 캠핑장이 있습니다.
<회의실>은 다목적실, 대회의실, 소회의실, 중회의실, 해외오피스, 기타 회의실로 구분됩니다.
<강의실/강당>은 강의교육실, 대강당, 소강당, 정보화교육실이 있습니다.
<체육시설>에는 게이트볼장, 농구장, 골프장, 배드민턴장, 수영장, 실내체육관, 야구장, 야외운동시설, 운동장, 족구장, 종합경기장, 체력단련실, 축구장, 탁구장, 테니스장, 풋살장 등이 있습니다.
<주차장>은 노상, 노외, 부설, 전기차충전소, 기타 주차장으로 나뉩니다.
<물품>은 공구/기계/기기, 교통수단, 사무/IT용품, 생활/육아/레저용품이 있습니다.
<연구/실험장비>에는 공동실험실습관, 광학/전자영상, 기계가공/시험, 데이터처리, 물리적 측정, 임상의료, 전기/전자, 화합물 전처리/분석, 환경조성/생산/사육시설 등 다양합니다.
<교육/강좌>에는 공연, 교양, 전문지식, 전시, 주민자치프로그램, 체험/대회 등 다양하니 필요한 물품이나 서비스가 있다면 검색해서 이용해 볼 만합니다.
하지만 간혹 공공시설이나 공간 등을 예약할 수 있는 것처럼 표기해 놓는 경우가 있는데, 예를 들면, 구청이나 시청 등의 광장 같은 것들입니다.
이런 공간은 예약을 하는 것이 아닌 누구나 방문을 해서 이용할 수 있는 곳이라는 것을 알리기 위해 올려놓는 경우입니다.
가끔 이런 정보들이 이용자를 헷갈리게 하는 경우가 있기도 하지만, <공유누리>는 예약이용뿐 아니라 이용가능한 공공시설의 정보도 함께 알린다는 목적이 있다는 것을 인지해야 합니다.
각 유형별 시설에는 관리자와 연락처 등이 기재되어 있으니, 궁금한 사항은 직접 문의가 가능합니다.
공유누리 이용방법
<공유누리>에서 공공개방자원 예약 이용방법은 간단합니다.
1. <공유누리> 메인 화면 - 공유신청/예약 - 원하는 "자원유형" 클릭
2. 원하는 시설이나 서비스를 선택하고, 지역 선택
3. 원하는 시설을 선택하고, 달력에서 날짜를 선택 예약하기
4. 예약 수량, 인원, 예약자 정보 등을 입력하여 예약신청서 작성
5. 신청내용 확인 후 예약신청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안한 수산물, <방사능 검사> 신청하세요 (2) | 2023.05.15 |
---|---|
실종예방 사전등록하세요 (0) | 2023.05.14 |
맨홀이 둥근 모양인 이유 (4) | 2023.05.07 |
내 가게, <재난배상책임보험>으로 사고에 대비하세요 (0) | 2023.05.07 |
기준금리와 가산금리 (0) | 2023.05.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