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투표일과 사전투표일

by jittymitty 2024. 4. 4.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집니다. 

 

이번 선거에서 국회의원 300을 선출하며, 지역구 의원 254명, 비례대표 의원 46명입니다.

 

또한 재보궐 선거도 함께 이루어지는데, 구/시/군 장 2명, 시/도의회 의원 17명, 구/시/군 의회의원 26명 등 모두 45명을 재보궐 선거를 통해 선출하게 됩니다. 

 

재보궐 선거는 재선거와 보궐선거를 이릅니다.

재선거는 선출과정에 문제가 있었거나, 선출된 후보가 임기시작 전 어떤 사유로 물러난 경우 선거자체를 다시 하는 것이며, 아직 대한민국에서 재선거는 이루어진 적이 없습니다.

 

보궐선거는 선출된 의원이 임기기간을 모두 채우지 못하고 사망 또는 어떤 사유로 인한 사퇴로 공석이 된 것을 다시 선출하는 것입니다. 

보궐선거로 선출된 의원은 4년의 정상적인 임기가 아닌 기존 임기를 이어받아 남은 임기를 채우게 됩니다.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투표일과 투표 시간

<<투표일 >>

2024년 04월 10일

해당 투표일은 수요일이며, 법정공휴일입니다.

 

<<투표 시간 >>

당일 오전 6시 ~ 오후 6시

 

 

사전투표일

<<투표일>>

2024년 04년 05일 ~ 06일

해당 사전투표일은 금요일과 토요일 이틀 간입니다.

정식 투표 당일 투표를 하지 못하는 경우 사전에 별도의 신고 없이 설치된 사전투표소에 방문해서 투표할 수 있습니다.

 

<<투표 시간 >>

당일 오전 6시 ~ 오후 6

 

 

투표 시 준비물

투표 당일이든 사전투표를 하든 반드시 신분증을 지참해야 합니다.

신분증은 관공서나 공공기관이 발행한 증명서로 생년월일과 본인의 사진이 첨부되어 확인이 가능한 것이어야 합니다.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공무원증, 전자증명서, 국가기술자격증(산업인력공단), 학생증(사립학교 포함) 등이 가능한 신분증입니다. 

 

**18세 이상의 국민은 누구나 투표에 참여 가능하며, 현재 기준 2006년 04년 11일에 태어난 사람까지 해당합니다. 

 

 

투표 방법

1. 투표소에 방문하여 신분증을 제시하여 본인확인을 합니다.

2. 안내에 따라 선거인 명부에 사인이나 도장을 찍습니다.

3. 투표용지를 수령하여 마련된 투표장소에서 투표용지에 선택을 합니다.

4. 투표함에 투표용지를 넣으면 끝입니다.

 

<투표 시 주의사항>

투표를 할때 인증사진을 많이 올리는데요.

투표소 내에서 사진을 찍거나, 기표용지를 찍어서 올리는 것은 불법으로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절대 하면 안 됩니다.

다만, 투표를 모두 끝낸 후 투표소 밖으로 나와 사진을 찍는 것은 가능하다고 합니다. 

 

 

투표함과 투표용지 그림

 

 

비례대표제

이번 22대 국회의원선거에서 비례대표를 뽑는 정당투표도 함께 하게 됩니다.

 

비례대표란 무엇일까요?

대한민국은 다수대표제와 비례대표제를 모두 채택한 혼합형 선거제입니다.

즉, 많은 득표수를 획득한 후보가 선출되는 다수대표제로 전체 300명 국회의원 중 254명을 선출합니다.

그리고 나머지 46명의 국회의원은 비례대표선거에 등록한 정당에 투표하여 그 정당득표율(해당정당에 투표한 수 ÷ 전체 투표수)에 따라 해당 정당에 의석수를 주어 선출합니다.

 

즉, 비례대표란 비례대표선거에서 득표한 정당득표율만큼 해당 정당이 의석수를 가져가는 것입니다.

많은 득표수를 획득한 정당이 그만큼 많은 의석수를 갖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비례대표 등록 정당 중에 가/나/다 정당이 득표율에 따라 각각 3/2/1의 의석수를 가져가게 됐다면, 가 정당은 등록한 후보 가운데 1번부터 3번까지 후보가 당선이 되며, 나 정당은 1번부터 2번까지, 다 정당은 1번 후보만 당선이 되는 방식입니다. 

그러니 비례대표선거는 의석수를 많이 가져갔으면 하는 정당에 투표하면 됩니다. 

 

 

 

모두 이번 22대 국회의원 선거에 참여해, 소중한 투표권을 값지게 사용하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