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산이나 백패킹 많이 하시죠.
등산을 하다보면 산 중간중간 노란색 표지판에
위치 정보가 있는 것을 보신 적이 있으실 겁니다.
위치정보이겠거니 짐작을 하고,
혹시라도 위급상황이 발생하면 이 정보를 주면 되겠구나
라고 어렴풋이 생각하셨을 텐데요.
혹시 정확히 어떻게 위치파악을 하는지
궁금하지 않으셨나요?
알 수 없는 한글과 숫자의 조합이 어떤 의미일까요?
우리가 등산 중에 마주치는 위치번호표시판은
바로 국가지점번호판입니다
국가지점번호판에 표기된 국가지점번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국가지점번호란?
국가지점번호는 도로명주소가 부여되지 않은
산림/해양 등 비거주지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입니다.
경찰·소방·산림청 등 기관과 지역별 서로 다른 위치표시체계를
좌표로 통일한 것으로, 재난재해 등 긴급상황에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 국가안전망입니다.
주소가 없는 비거주지역의 위치를 쉽게 파악하여
재난/사고 등 응급상황 발생 시 신속한 위치 안내와 인명구조 등
관계기관이 공동활용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2012년 국가지점번호 고시계획이 나왔으며,
2013년 초 시범설치를 거쳐 보완 후 2013년 말부터
본격적으로 설치를 시작하였습니다.
국가지점번호는 국토 및 이와 인접한 해양을 격자형으로
일정하게 구획해 각 지점마다 부여된 번호입니다.
도로명주소법 시행령 제37조에 따라 행정안전부장관이
기준점을 정하고,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각각 10미터인 격자를
기본단위로 하여 국가지점번호를 부여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전국을 정사각형 격자로 나누고, 하나의 좌표체계로 표시하는데
국가지점번호를 가장 작은 단위로 상세하게 표시하면
<한글 2글자 + 숫자 8개>의 조합이 됩니다.
간단히 말해, 전국을 격자로 구획해
규칙을 정해서 각각 좌표번호를 표시한 것입니다.
기준점
국가지점번호의 기준점은 우리나라 지도제작의 원점이자
한반도의 중심지점인 UTM-K원점
(단일평면직각좌표계의 원점,
동경 127.5도, 북위 38도 지점-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삼일리 산196)
에서 남쪽으로 700km, 서쪽으로 300km 지점입니다.
기준점은 국가지점번호 '가가 0000 0000'에 포함된 지점입니다.
국가지점번호 검색 사이트에서 찾아보면
거의 이어도 부근인 것으로 보입니다.
전국을 정사각형으로 나눌 때,
가장 큰 단위의 100kmX100km로 나누고,
그것을 다시 10km/100m/10m단위로 나누어 세분하게 됩니다.
기준점으로부터 동쪽, 북쪽으로 각각 100km 단위의 격자로 나누는데,
기준점에서 100km마다 동쪽(오른쪽)으로는 <가~사>까지,
북쪽(위쪽)으로는 <가~아>까지 한글 문자를 부여했습니다.
그러니까 기준점에서 동쪽과 북쪽으로 100km씩 멀어질 때마다
기준점인 <가>로부터 100km 떨어지면 <나>,
기준점으로부터 200km는 <다> 이런 식으로 표시됩니다.
국가지점번호 자세히 읽어보기
예를 들어, 서울특별시는 <다사>에 포함되고,
독도는 <사사>에 포함됩니다.
이 의미는 서울특별시는 기준점인 <가가>에서부터
동쪽으로 200km, 북쪽으로 600km 떨어진 것이고,
독도는 기준점에서부터 동쪽으로 600km, 북쪽으로 600km
떨어진 지점입니다.
좀더 세부적인 표기도
간단하게 숫자 단위로 생각을 하면 되는데요.
예를 들어, <나다 1234 1234>라는 지점번호가 있다고 합시다.
맨 앞에 한글 두 개는
차례대로 기준점으로부터의 동쪽/북쪽의 100km단위의 거리,
그 뒤의 4개씩의 숫자 중 각각 첫 번째 숫자는 10km단위,
2번째는 1km단위, 3번째는 100미터 단위,
4번째는 10미터 단위입니다.
예로 든 지점번호를 풀어보면
기준점으로부터 동쪽으로 <나1234=112.34km>,
북쪽으로 <다1234=212.34km>가 되는 지점입니다.
(나다 1234 1234 = 동쪽으로 112.34km/북쪽으로 212.34km)
실제 예를 들어보자면,
<다사 5381 5262>의 충무공 이순신 동상은
<가가 0000 0000>의 기준점으로부터
동쪽으로 253.81km, 북쪽으로 652.62km 떨어져 있는 것입니다.
국가지점번호판의 표시 사항
국가지점번호판에는 <시설명/지점번호/기타사항>을 표시합니다.
<시설물 명칭>
국가지점번호
<지점번호>
한글(병행 표기하는 로마자 포함)과 숫자
<기타>
시설관리 기관명 및 시설관리에 필요한 사항 등 표시
①시설물 명칭
②지점번호(한글2자+숫자8개의 조합)
③기타(시설관리 기관명/시설관리 필요사항)
④QR코드
⑤시각경계선(표지판의 시인성을 높임)
⑥모퉁이 곡선처리로 안전사고예방
*노란색 바탕에 검정글씨로 표기
국가지점번호판의 규격 및 재질
국가지점번호판은 사각형으로 가로형과 세로형이 있으며,
번호판의 재질은 두께 2mm의 규정된 강도 이상의
금속으로 합니다.
국가지점번호판은 야간에도 잘 보일 수 있도록
기준이상의 반사재료를 사용하거나 조명을 장치하여야 합니다.
지점번호판의 바탕색은 노란색 계통으로 하고,
글자색은 검정색으로 합니다.
이제 등산할 때 마주치는 노란색의 국가지점번호를
그냥 지나치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항상 잘 기억해두었다가 위급상황이나
꼭 필요한 상황에 신고기관에 지점번호로 위치정보를 주고,
어떤 의미인지도 알고 있다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국가지점번호 검색>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심상속 원스톱 서비스 (0) | 2023.03.30 |
---|---|
인테리어 용어 <턴키TURN-KEY>란? (0) | 2023.03.23 |
<보조금24> 내 보조금 찾아주는 비서 서비스! (0) | 2023.03.20 |
음식물쓰레기 분류방법 (0) | 2023.03.18 |
염화칼슘, 봄에 도로가 엉망인 이유? (0) | 2023.03.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