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사업자등록, 인허가 업종 확인 방법

by jittymitty 2023. 5. 17.

사업을 하려는 경우 사업자등록을 해야 합니다.

사업자등록을 하기 전에 하려는 사업이 영업 인허가가 필요한 것인지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영업허가/등록/신고 과정이 먼저 이루어져야 합니다.

인허가가 필요 없는 업종인 경우에는 사업자등록 신청만으로 사업을 개시할 수 있습니다.

인허가(영업허가/등록/신고)는 관할 시/군/구청에서, 사업자등록은 관할세무서나 홈택스에서 할 수 있습니다. 

 

개인사업자 사업자등록 신청 시 필요서류

업종에 따라 인허가를 받아야 하는 경우, 인허가를 받은 후에 사업자등록을 하면 됩니다.

인허가가 별도로 필요 없는 업종인 경우에는 바로 사업자등록 후 영업을 시작합니다.

 

<사업자등록 필요서류>

-사업자등록 신청서

-임대차계약서 사본(사업장을 임대한 경우)

-인허가 업종인 경우 허가/등록/신고증 사본

-동업계약서(공동사업자가 있는 경우)

-자금출처명세서(금지금 도·소매업, 액체/기체 연료 도·소매업, 재사용 재료 수집 및 판매업, 과세유흥장소 영위자에 한함)

 

*영업장이 임대인 경우 사업자등록을 할 때, 영업장의 도면을 함께 제출해 확정일자를 받습니다.

 

영업허가/신고/등록

업종별로 사업자등록을 하기 위해 영업허가, 영업신고, 영업등록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본인이 하려는 업종이 인허가가 필요한 업종인지 꼭 확인한 후, 필요하다면 사업자등록에 앞서 인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업종에 따라 영업허가, 신고, 등록으로 구분되니, 업종이나 업종코드로 관할 기관이나 홈택스에서 확인합니다.

 

영업허가

영업허가를 받아야 하는 업종은  <식품위생법> 제37조제1항 및 <식품위생법 시행령> 제23조제2호에 따라 관할 허가기관에(관할 시/군/구청)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영업에 필요한 시설을 갖춘 후 서류를 첨부해 제출합니다.

 

영업신고

영업신고 업종은 <식품위생법> 제37조제4항 및 <식품위생법 시행령> 제25조제1항제8호에 따라 관할 허가기관에(관할 시/군/구청) 신고를 합니다. 

영업시설을 갖춘 후 서류를 준비해 관할기관에 제출합니다. 

신고를 받은 해당 기관에서는 신고 후 1달 이내에 직접 방문하여 영업시설을 확인합니다.

 

영업등록

영업등록이 필요한 업종은 마찬가지로 관할 기관에 관련서류를 함께 제출해 영업등록을 한 후, 사업자등록을 진행합니다. 

등록업종의 경우 기준에 맞게 영업시설을 갖추어야 하며, 등록신청을 한 기관에서 직접 방문하여 확인합니다.

 

업종별 인허가 사항 확인하는 방법

업종별 인허가가 필요한 경우는 매우 다양합니다.

본인이 하려는 업종이 인허가가 별도로 필요한지 알아보려면, 관할 시/군/구청에 문의하든지 홈택스에서 확인하면 됩니다.

 

<홈택스>에서 업종별 인허가 사항 확인하기

1. 홈택스 → 신청/제출

2.사업자등록 신청/정정 등

3. 이용절차안내- ①제출서류준비(제출서류유형/업종조회/인허가서류조회) → <인허가 서류조회> 클릭

4. 업종코드 또는 업종명 입력 → 조회하기

업종코드를 알면 업종코드 입력 후 조회를 하면 됩니다. 그냥 제조업 업종만 선택한 후 조회를 한 화면입니다.

5. 해당하는 업종 <선택> 클릭

제조업 중 '육류 도축업'에 필요한 인허가 사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업종코드를 아는 경우에는 코드를 입력하여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조업을 선택해 조회한 후, 첫 번째로 나오는 '육류 제조업'을 선택해 인허가 사항을 확인해 보았습니다.

업종코드 '151101'의 '육류 제조업'의 경우 영업허가를 받아야 하는 업종이며, <도축업허가신청서>를 관할 기관에 제출해야 합니다. 

 

<홈택스>에서 이렇게 본인이 원하는 업종을 선택해 인허가 사항을 간단하게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