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8일 화요일은 입추입니다.
24절기 중 하나인 입추는 가을을 알리는 날이기도 한데요.
이렇게 더운데 가을이라니, 뭔가 맞지 않는 것 같기도 하고 예전과 달리 기후가 많이 변한 건가 싶기도 합니다.
24절기와 그 가운데 입추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24절기란?
24절기는 태양 궤도 상의 태양의 위치에 따라 계절을 구분하기 위해 만든 것입니다.
춘분을 기준점으로 하여 15 º 마다 점을 찍어 24개의 절기로 구분합니다.
4계절 6개씩의 절기로 구분되며, 각 계절에 해당하는 절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 봄 >
입춘 - 봄의 시작
우수 - 봄비가 오고 새싹이 올라옴
경칩 - 개구리가 깨어나는 때
춘분 - 낮의 길이가 길어지기 시작
청명 - 하늘이 맑아지는 때로 농사를 준비하는 시기
곡우 - 농사를 짓기 위한 비가 내리는 시기
< 여름 >
입하 - 여름의 시작
소만 - 식물이 잘 자라고 여름의 기운이 돌기 시작하여 농사를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시기
망종 - 곡식의 씨앗을 뿌리기에 좋은 때로 씨 뿌리기를 시작하는 시기
하지 - 1년 중 낮의 길이가 가장 긴 시기
소서 - 작은 더위라는 의미로 더위가 시작되는 시기
대서 - 큰 더위로, 더위가 가장 심한 시기
< 가을 >
입추 - 가을의 시작
처서 - 차차 더위가 가시고 일교차가 커지는 시기
백로 - 흰 이슬이라는 의미로, 밤의 기온이 내려가면서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는 시기
추분 - 추분을 기준으로 낮과 밤의 길이가 같으며, 점차 밤의 길이가 길어지는 시기
한로 - 차가운 이슬이라는 의미로, 찬 이슬이 내리는 시기
상강 - 서리가 내리는 시기
< 겨울 >
입동 - 겨울의 시작
소설 - 첫눈이 내린다고 하여 소설이라 하며, 얼음이 얼기 시작하는 시기
대설 - 한겨울 큰 눈이 오는 시기
동지 - 1년 가운데 밤의 길이가 가장 긴 시기
소한 - 겨울 중 가장 추운 시기
대한 - 겨울의 가장 큰 추위가 오는 시기
입추의 의미
입추는 24절기의 13번째 절기입니다.
가을에 들어섰다는 의미이며, 가을이 시작되는 시기로 양력 8월 7일 혹은 8일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애초에 절기를 구분할 때 중국 지역의 기후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입추에 해당하는 시기인 8월 초순은 한국에서는 오히려 더위의 절정에 해당합니다.
옛 문헌인 <고려사>의 기록에도 입하부터 입추까지 백성들이 조정에 얼음을 진상하였다는 내용이 있는 것으로 보아, 예전에도 입추까지는 아직 더웠던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절기 상으로는 입추부터 입동 전까지 가을에 해당합니다.
입추가 되어도 여전히 덥지만, 왠지 가을에 들어섰다는 기분 때문인지 더위가 곧 물러갈 것 같은 기분이 듭니다.
이번 8월 8일은 입추입니다.
절기상 가을이지만 내일도 여전히 찜통더위가 이어질 거라는 일기예보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제 조금만 더 견디면 찬바람 부는 가을이 오니, 기대를 가지고 조금만 더 기다려봐야 할 것 같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기능식품 올바른 구입과 섭취방법 (18) | 2023.08.14 |
---|---|
광복절은 공휴일입니다. (28) | 2023.08.10 |
한국의 우윳값이 비싼 이유? (16) | 2023.08.06 |
연명치료 거부신청 (16) | 2023.08.03 |
인도에 불법 주정차가 있다면 신고하세요. (2) | 2023.07.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