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앞에 검은 점이나, 실 같은 것들이
떠다니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바로 <비문증>입니다.
날파리가 날아다니는 것처럼 보인다고 하여
날파리증이라고도 합니다.
< 일반적인 증상 >
눈 속에 부유물질이 보이는 증상으로
작은 벌레 모양, 먼지나 아지랑이, 점 모양의 물체가
시야에 보이고, 때로는 눈을 감아도 보일 수 있습니다.
눈 속에 있는 혼탁 물질의 그림자가 보이는 것이기 때문에
보는 방향을 따라다니는데,
맑은 하늘이나 하얀 벽, 하얀 종이를 배경으로 보았을 때
더욱 뚜렷하게 보입니다.
비문증은 한 번 생기면 지속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위치와 모양이 바뀌면서 호전될 수도 있습니다.
<원인이 뭘까요?>
눈의 대부분은 유리체라는 무색투명한 젤 형태의
조직으로 차 있습니다.
유리체는 수정체와 망막을 지지하여
안구의 형태를 유지하고,
빛을 통과시켜 망막에 물체의 상이 맺히도록 합니다.
나이가 들면서 젤 형태의 유리체 일부가 수분과 섬유질로
분리되는 '유리체 액화' 현상이 발생합니다.
그러면서 남은 젤 부분은 점차 수축되고
섬유질의 밀도는 부분적으로 높아집니다.
이것이 혼탁을 일으켜 망막에 그림자가 지게 되고,
그것이 실이나 벌레 모양 등으로 보이게 됩니다.
노화에 의한 비문증은 자연스러운 현상이고
크게 치료가 필요하지는 않지만,
만약에 질환에 의해 비문증이 발생한 경우에는
정확한 검진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 비문증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질환은? >
망막열공이나 망막박리, 염증질환, 유리체출혈, 외상 등도
비문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1. 망막의 찢어짐(망막열공) 및 망막박리
유리체의 생리적 변화는 망막열공 및 망막박리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유리체의 액화와 수축은 유리체와 망막의 결합부위에서
망막을 당기는 현상을 유발합니다.
이로 인해 번쩍거리는 불빛이 보이는
광시증이 발생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큰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반면 당기는 힘이 너무 강하거나,
유리체와 망막이 너무 강하게 붙어있는 경우에는
망막이나 망막혈관이 찢어지기도 합니다.
찢어진 망막을 통해 색소성분이 유리체 안으로 나오거나,
찢어진 혈관에서 출혈이 발생하면 비문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찢어진 망막을 통해 액화된 유리체가 유입되면
망막이 원래 자리에서 떨어져 나오게 되는데,
이를 열공망막박리라고 합니다.
박리된 망막의 시야는 어둡게 보이게 되고,
박리된 망막이 망막의 중심부를 침범하면
시력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비문증과 함께 광시증이 오래 지속되고
시야 한쪽이 가려 보이며, 시력이 떨어지면
정밀 안과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2. 안구의 염증성 질환
염증으로 인해 유리체에 염증 물질들이 떠다니는
경우에도 비문증이 발생합니다.
안구의 염증은
안통, 충혈, 시력저하, 두통 등을 동반하므로,
비문증과 함께 이러한 증상이 있다면
검사가 필요합니다.
3. 유리체출혈
당뇨망막병증, 망막혈관폐쇄, 망막혈관염,
맥락막신생혈관, 뇌지주막하출혈 등에서
유리체에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출혈이 시야를 가려 생기는 그림자에 의해
비문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당뇨망막병증은 당뇨환자에서 발생하며,
망막혈관폐쇄증은 고혈압이나 당뇨 환자에게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당뇨나 고혈압이 있는 사람에게 비문증이 생긴다면
유리체 출혈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4. 안구의 외상
안구에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유리체가 떨어져 나오거나 출혈이 발생하여
비문증이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안구 외상에 의한 비문증의 경우
망막열공이나 망막박리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반드시 검사가 필요합니다.
< 치료가 필요할까요? >
노화로 인한 생리적 비문증은
시력에 지장을 주지 않으며, 시간이 지나면
대부분 호전되거나 적응됩니다.
보통은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는 않지만,
만약에 비문증으로 인한 불편이 크거나
생활에 지장이 있는 정도라면
레이저 시술이나 안구에 구멍을 뚫어 유리체를 제거하는 등의
수술이 있기는 합니다.
하지만 이 또한 다양한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어,
치료를 권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안구질환에 의해 비문증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므로,
증상을 세심하게 관찰해
질환에 의한 증상으로 의심되는 경우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했을 때 해결방법 (2) | 2023.03.17 |
---|---|
'가려움증' 원인이 뭘까요? (0) | 2023.02.21 |
서양자두 <푸룬>, 정말 변비에 효과가 있을까요? (2) | 2023.02.15 |
고혈압에 좋은 칼륨이 많은 식품 (0) | 2023.01.31 |
고혈압의 원인과 증상은 무엇일까요? (0) | 2023.01.30 |
댓글